TIL(2023. 10. 10)
DAY3
📖 오늘 읽은 부분 : 에피소드 11 ~ 에피소드 15
💡 내가 제어하는가, 제어 당하는가?
마당03 코딩별 안내서 - 웹 기술 편
에피소드 11 라이브러리와 프레임워크, 비슷한 거 아냐?
공통점 : 개발 속도를 더 빠르게 만들어 준다.
차이점 ; 내가 제어하는가, 제어 당하는가?
라이브러리 :
제이쿼리(jQuery)
더 쉬운 방법으로 웹사이트에 인터랙티브한 요소를 넣을 수 있게 해준다
부트스트랩(bootstrap)
웹 사이트 화면을 구성할 때 메유, 버튼, 레이아웃과 같은 것들을 편하게 구현할 수 있게 해준다.
=> 필요할 때 불러서 쓸 수 있다.
=> 교체 난이도가 쉽다
=> 내가 제어할 수 있다.
프레임워크:
장고 (Django), 스프링(Spring)
=> 내가 프레임워크에 정해진 규칙을 바꿀 수 없고 프레임워크의 규칙을 따라야한다
(EX. 폴더 이름, 파일 구성, 코드 ...)
=> 교체 난이도가 어렵다.
=> 그만큼 완성도가 높은 결과물을 보장할 수 있다.
리액트는 라이브러리
에피소드 12 제이쿼리는 반드시 배워야 하는 기술일까?
"제이쿼리는 정말로 필요할 때에만 배워라!"
에피소드 13 그놈의 API, 대체 뭐길래?
API :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
프로그램끼리 소통할 때 쓰는 일종의 규칙을 코드화 한 것.
'어디어디 데이터베이스를 찾아가서 어떻게 저장하라'와 같은 연결 역할을 해준다.
사용자는 API의 작동 방식을 알 수 없다.
에피소드 14 도메인은 왜 돈을 주고 사야할까?
naver.com 202.131.30.11
google.com 173.194.126.240
easyspub.co.kr 183.111.161.94
=> 숫자 외우기 어려워 !
고대디(goDaddy), 가비아(gabia), 후이즈(Whois)와 같은 리셀러(reseller)에게서 사야한다.
아이캔(ICANN) : 도메인을 관리하는 비영리 기구
- 도메인을 만드는 건 레지스트리다
- 레지스트리는 IP 주소와 도메인을 적은 전화번호부이다.
- 레지스트리 운영사가 되려면 엄청난 돈과 인프라가 필요하다.
- 도메인을 구매하면 레지스트리 운영사가 아니라 리셀러에게 돈을 지불하는 것이다.
- 리셀러는 계약 관리, 결제 처리, 도메인 비용 지급 등의 일을 한다.
에피소드 15 플래시의 서비스 종료와 스티브 잡스
어도비 플래시 : 게임, 영상을 제공하는 웹사이트에서 사용하는 프로그램
플래시 : 애니메이션을 브라우저에 띄 울 수 있게 해주는 프로그램
🐣 느낀 점
점점 내가 모르는 용어들에 대한 정의를 알게 되어서 프로그래밍에 한 걸음 나아간 기분이었다. 라이브러리와 프레임워크에 대해 알게됐다. 정확한 정의를 알고 차이점을 알게되니 어느 목적을 가질 때 이걸 써야하고 어떻게 활용해야될지 알게되었다.
어렸을 때 컴퓨터를 하면 어도비 플래시가 항상 떳었던 것 같은데 왜 안 뜨는지 알게 되었다..
독점을 막는 스티브 잡스.. 멋지다.. ,
'IT > IT 5분 잡학사전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Nomad Coders] IT 5분 잡학사전 #07 (2) | 2023.10.14 |
---|---|
[Nomad Coders] IT 5분 잡학사전 #06 (0) | 2023.10.12 |
[Nomad Coders] IT 5분 잡학사전 #05 (0) | 2023.10.11 |
[Nomad coders] IT 5분 잡학사전 #02 (1) | 2023.10.07 |
[Nomad Coders] IT 5분 잡학사전 #01 (0) | 2023.10.06 |